본문 바로가기
주식 성장일지

주식(경제) 공부: 미국, 국내 금융주 전망

by 산쵸네 2023. 4. 19.
300x250
300x250

미국 대형은행들의 

23년 1분기 실적이 발표되면서

주가가 상승하고 있지만

국내 금융주들은 그렇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 이유를 알아보자.

 


 

미국 대형 은행권(금융)의 호실적 이유

 

JP모건 & 뱅크 오브 아메리카 주가 (출처: Finviz)

 

'23년 초 SVB 파산과 크레디트스위스 사태로

세계 금융 위기가 올 것이라는 전망이 다분하였다. 

(SVB은행 파산 이유 및 과정은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다.)

 

https://santatonero.tistory.com/16

 

주식(경제) 공부: 2023년 금융위기 편 (Feat. SVB은행 파산)

세계 각국에서 인플레이션을 잡고자 금리 인상 러시를 하였다. 금리가 인상되면 금융 업체는 이자 수익이 증대되고 실적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였고 실제로도 그렇게 되었다. 많은 금융 업체

santatonero.tistory.com


다만

2008년 금융 위기 때

늦장 대응의 위험성을 배운

미국 정부의 신속한 개입은 이번 사태를 일단락시켰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중소형 은행의 위기는

대형 은행의 호재가 되었다.

 


 

중소형 은행들에 대한 불안감은

소비자들을 대형 은행으로 이끌었으며

이러한 소비자의 집중은

대형 은행의 예금 규모를 키웠다. 

 

또한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진행되면서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의 차이는 더욱 커졌으며

이는 대형 은행의 수익을 극대화시켰다.

 

이 결과

JP모건의 '23년 1분기 실적은 역대 최대이며

전년 동기 대비 50% 이상 증가한 순이익을 

달성하였다.  


 

미국 금융 시장 전망

 

우여곡절과 불안정성을 여전히 가지고 있지만

2008년 같은 금융 위기가 올 것 같지는 않다. 

 

그 이유는

미국 금융 기관의 대차대조표가

아직까지는 위험한 수준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최근 우려되고 있는

상업용 부동산 대출의 채무 불이행이 발생하여

은행이 큰 손실을 입게 된다면

이는 파장이 있을 수 있다. 

 

미국 은행들이

상업용 부동산 대출 진행 시

LTV(자기자본비율)를 적절하게 책정했기를 빈다. 

 

상업용 부동산 상황 (요약)


 

국내 금융(은행) 시장 전망

국내 금융 시장의 전망을 살펴보려면

우선 현재 경제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이다. 

이는 수출 비중이 높다는 뜻이며

다르게 말하면

수출로 먹고사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기도 하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는 13개월 연속 무역 적자를

겪고 있는 중이다. 

 

무역 수지가 적자인 이유는 복합적이지만

간략하게 내용을 살펴보면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주요 품목 수출 급감

에너지원의 수입 급증

중국 수출의 대폭 감소 등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유들로

무역 수지 적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 기업들의 실적이 좋지 않음을 반증한다. 

 


 

국내 경제 상황을 살펴본 이유는

경제 상황과 금융주는 밀접하기 때문이다. 

 

정리하면

현재 기업들의 실적과 상황이 좋지 않으며

이에 따라 투자가 줄어들고

이는 곧 은행 대출을 감소시킨다.

 

또한

미국과 동일하게 상업용 부동산의 

채무 불이행 위험성도 존재하며

상생 금융에 따른 대출 금리 인하도 예상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들로

은행권의 순이자마진(NIM) 감소를 예상할 수 있다.  

 

은행의 가장 큰 수익은 이자로

은행권의 순이자마진(NIM) 감소는

실적악화를 뜻한다. 

 


또한 날카롭게 오른 금리는

연체를 증가시키고 있다. 

 

재무 건전성을 위해

올해 1분기 국내 은행권에서 매각한

담보부 부실채권(NPL)은 7,100억 정도 된다고 하며

2분기에 1조 4천억 정도 추가 매각을 진행한다고 한다. 

(NPL: 3개월 이상 연체한 대출 채권) 

 


국내 금융(은행) 시장에 대한 전망은

밝은 것 같지 않다. 

 

이에 4월에 발표 할

국내 은행들의 '23년 1분기 실적을

유심히 지켜봐야겠다. 

 

★ 실적 발표 일정 ★

4월 24일: 우리금융

4월 27일: 신한, 하나, KB, 기업은행

5월 3일: 카카오 뱅크 


※ 최대한 간략하고 알기 쉽게 요약하여 작성했기에 사실과 다른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한 마음으로 정정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