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성장일지

주식(경제) 공부: 미국 집값 반등 이유

by 산쵸네 2023. 6. 2.
300x250
300x250

6월 FOMC 기준 금리 예상에 관한 포스팅을 작성하던 중 미국 집값이 2개월 연속 반등 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금리가 이렇게 높은 상황임에도 집값이 오른다는 것이 쉽게 이해가 되지 않아 살펴보았다. 

 

미국 집값이 반등한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자. 

 


가격이 형성되어 있는 거의 모든 제품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정해진다.  

즉, 현재 미국 집값이 오른다는 것은 시장이 '수요 > 공급'으로 되었다는 뜻이다. 

수요가 증대된 이유와 공급이 감소한 이유에 대해서 알면 집값 상승 요인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수요 부분과 공급 부분을 나누어서 살펴보자. 


♧ 수요

1. 집값 상승에 대한 믿음

 

미국의 주택 담보 대출은 고정금리로 이루어진다. 

현재 미국의 주택 담보 대출 금리는 6~7% 정도 되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 1~2% 금리 때를 생각하면 정말 높은 금리임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있다. 

 

이는 미국 부동산 시장을 믿는 사람들의 생각이 반영된 것 같다. 

즉, 금리 인상으로 내는 이자 비용 보다 앞으로의 집값 상승 폭이 더 클 것이라는 믿음이다. 

이러한 믿음은 현재 미국 고용 시장의 탄탄함에서 오는 경기가 침체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온 것 같다. 

하지만 상기 내용은 수요가 있음을 뜻하지, 수요가 기존 대비 증가 되었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2. 외국인의 매수 증가

 

수요가 증가 된 요인 중 하나는 바로 외국인의 미국 부동산 구매일 것이다. 

외국인 중에서도 중동과 중남미 사람들의 주택 구매가 많이 증가했다고 한다. 

(미국 주택 매수한 외국인 1위는 중국, 2위는 캐나다라고 한다.)

 

개인적인 생각인데 두 나라의  미국 주택 구매 이유는 다른 것 같다.  

중동 사람들은 별장 같은 느낌으로 미국에 집을 구매하는 것 같다. 

중남미 사람들의 경우 자국 경제의 불안함으로 미국 부동산에 투자하여 위험 헷지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 같다.

중동과 중남미 외 다른 외국인들도 많이 미국 부동산에 투자를 할 것이다. 

투자가 가능한 이유는 대출로 집을 사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자산가들은 금리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IRA 법안 발의 후 미국에 대규모로 투자하는 외국계 기업이 많아졌다. 

이러한 외국계 기업의 투자는 투자 지역뿐 아니라 근교까지 부동산 가격을 상승시킨다. 

 

 

3. 팬데믹

 

또 다른 수요 증가 이유는 팬데믹인 것 같다. 

팬데믹 때 주택 매입을 보류한 사람들이 매입을 시작한 것이다. 

 


♧ 공급

1. 신규 주택 공급의 감소

 

Covid를 기점으로 주요 건설 자재의 가파른 가격 인상으로 신규 주택 건설이 취소되거나 보류되었다. 

이로 인하여 신규 주택 공급이 감소되었다. 

 

 

2. 매물량 감소

 

금리 인상 전 주택 담보 대출을 받은 사람들은 금리가 낮다. 

예를 들면 2%에 주택 담보 대출을 계약한 매입자가 현재 집을 매매 후 다른 주택을 매입할 경우 상승한 금리: 6~7%를 적용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판매하려는 매물 자체가 감소하였다. 

 


살펴보았더니, 수요의 증가 측면보다는 공급의 감소 측면이 미국 집값 반등의 주요 요인인 것 같다. 

하지만 2개월 연속 상승 전 미국의 부동산은 7개월 연속 하락 하고 있었기에 이 상승이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될 것 같다.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작성한 거라 내용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정확하지 않은 부분 알려주시면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